'마음'을 알아준다는 것(22.05.31.화)
'마음'을 알아준다는 것 우리의 일상에서 '마음'이라는 말을 많이 사용한다. '마음이 아프다, 마음이 편하다, 마음이 괴롭다, 마음이 즐겁다, 마음이 좁쌀같이 좁다, 마음 씀씀이가 넉넉하다, 마음먹기에 달렸다, 마음대로 잘 되지 않는다, 마음이 변했다, 마음이 한결같다....' 이 표현들이 보면, 행복과 불행이 모두 마음의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는 걸 알 수 있다. - 김종명의《마음 발견의 기술》중에서 - * 마음을 알아주는 사람 한 사람만 있어도 족합니다. 덜 외롭고 덜 아프고 덜 불행할 수 있습니다. 마음을 알아준다는 것이 마음을 읽어내는 것과 같습니다. 작은 떨림처럼 미세한 기분, 감정, 정서의 상태를 읽어내고 마음을 함께 하는 것입니다. 마음 하나가 통하면 다른 모든 것이 통합니다. 함께 좋아집니다..
2022. 5. 31.
온천을 즐길 때는 잘 먹자(보낸날짜 : 22.05.30.월)
온천을 즐길 때는 잘 먹자 온천은 온갖 풍병으로 뼈마디가 땅기고 감각이 둔한 것, 손발이 말을 듣지 않는 것과 한센병, 옴, 버짐을 다스린다. 온천 아래에 유황이 있으면 물이 뜨거워지는데, 유황은 양기를 보충해서 냉증을 치료하고 피부질환에도 매우 좋다. 하지만 온천수의 도움으로 양기를 보충할 때 사람의 기운도 함께 소모되므로, 온천을 즐길 때는 꼭 잘 먹어야 한다. - 최철한, 고화선, 장중엽의《자연에서 배우는 음식 공부》중에서 - * 온천이 좋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상식에 속합니다. 온천이 왜 좋은지, 어디에 좋은지는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좋을 듯합니다. 다만 온천을 하면 그만큼 기운도 빠지니까 잘 먹어야 한다는 것은 처음 듣는 사람도 꽤 있을 듯합니다. 온천 하고 잘 먹고, 온천 하고 잘 먹고, 그렇..
2022. 5.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