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교 정의구현사제단은 1974년 7월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된
원주교구장 지학순 주교가 '유신헌법 무효' 양심선언을 한 뒤
구속된 것이 계기가 돼 만들어졌다. 김승훈·함세웅 신부를 비롯한
젊은 사제들과 평신도 등 1200여명이 그해 9월 서울 명동성당에서
시국 선언을 발표하면서 정의구현사제단이 출범했다.
정의구현사제단은 이후 '민주구국선언문' 발표, 김지하 시인 구명운동,
인혁당 사건 진상 규명 운동 등을 전개했다. 유신과 제5공화국으로
이어지는 독재 시대에 민주화와 인권의 보루로서 정의구현사제단의
명성은 1980년대 들어 광주 민주화 운동과 부천서 성고문 사건
진상 규명 운동을 통해 더욱 높아졌다. 그리고 1987년 5월
박종철군 고문치사 사건의 은폐·조작을 폭로해서 6·10 항쟁의
도화선을 당김으로써 절정에 이르렀다.
하지만 정의구현사제단은 민주화 이후에 국가보안법 폐지, 반미(反美),
통일, 반전(反戰) 운동 등으로 방향을 돌리면서 이념적 편향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첫 사건은 1989년 8월 미국에 있던 문규현 신부를 불법
입북하여 평양 청년학생축전에 참가한 임수경양과 함께 귀환시키기
위해 정부의 허가를 받지 않고 파견한 일이었다.
사제단의 좌경성은 2000년대 들어 더욱 분명하게 나타났다.
2002년 11월 미군 장갑차 여중생 희생 사건 해결과 소파협정(한·미 행정협정)
개정을 요구하는시국 기도회를 열었고, 2003년 11월에는 1987년 발생했던
KAL 858기 사건이 조작됐다며 진상 규명을 요구했다.
이후에도 국가보안법 폐지, 평택 미군기지 확장 반대, 한·미 FTA 중단을 촉구하는
시국 미사를 개최했으며 미국산 소고기 수입 재협상 요구 촛불 시위,
제주 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 반대, 용산 사태 등에 개입하면서
일방적 주장을 펼쳐서 친북(親北), 종북(從北)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정의구현사제단은 서울에 본부를 두고 천주교 교구별로 지부를
갖고 있으며 본부와 지부에는 각각 대표가 있다. 사제단은 정확한
회원 수와 명단을 발표한 적이 없지만 대략 300~500명이 회원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국 천주교의 전체 사제는 지난해 말
4578명이다. 정의구현전국사제단의 현 대표는 지난 3월 선출된
나승구(50) 신부가 맡고 있다.나 신부에 앞서 전종훈(57) 신부가
7년간 대표를 맡았다. 이들과 2007년 삼성 비자금 폭로 당시
사제단 총무로 매스컴을 탔던 김인국(50) 신부와 김홍진(57),
맹제영(55), 이강서(51), 최승정(52) 신부 등이
'사제단 2세대'의 핵심이다.
50대 신부들이 실무 책임을 맡고 있지만 정의구현사제단의
실질적 주역은 여전히 창립 때부터 참여해온 원로 그룹이다.
초창기 사제단의 '투 톱' 중 김승훈 신부는 2003년 세상을
떠났지만 함세웅(71) 신부는 정의구현사제단이 설립한
'기쁨과희망사목연구원' 원장으로 사제단의 대부(代父)
역할을 하고 있다. 연구원의 이사장인 김병상(81) 몬시뇰과
부이사장인 송기인(75) 신부, 이사를 맡고 있는 심용섭(74),
안충석(74), 양홍(73), 황상근(72) 신부 등도
'사제단 1세대'의 중추다.
정의구현사제단은 한국 천주교의 공식 지도 기구인 주교회의로
부터 인준받지 않은 임의 단체이다. 엄격한 위계질서를 갖고 있는
천주교는 모든 산하단체가 주교들의 통제를 받지만 사제단은
그렇지 않다. 이들은 때로 자신들의 뜻에 맞지 않는 천주교
최고 지도부에 반기를 든다. 2010년 서울대교구장 정진석
추기경이 "4대강 찬반은 신앙의 문제가 아니다"고 발언하자
사제단은 '추기경의 궤변'이라는 성명을 발표했고, 사제단 원로들은
'교구장 용퇴'를 요구했다. 함세웅 신부는 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정국 때 김수환 추기경이 "탄핵 문제로 국론이 분열돼서는
안 된다"며 촛불 행사 자제를 당부했을 때 "그분의 사고는
다소 시대착오적"이라고 비판했다.
출처: waple chosun.com./waple Life
waple Life:현명한 사람들의 선택
현명한사람(Wise People) 회원님께 드리는'와플레터'서비스입니다
와플(Waple)은 현명한 사람(Wise People)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