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려 박사는 우리나라 외과 학회에서는 아주 뛰어난
업적을 남긴 외과 전문의였지만,
그의 인생은 너무나도 서민적이고 초라했다.
1995년 1월, 86세로 생을 마감할 때까지
부산 복음 병원 원장으로 40년,
복음 간호 대학 학장으로 20년을 근무했지만,
그에게는 서민 아파트 한 채,
죽은 후에 묻힐 공동묘지 10평조차 없었다.
장기려 박사는 언제나 매우 어려운 처지에서 사셨다.
물론 병원 원장이나 대학 학장으로서의 수당은 있었겠지만,
그에게는 월급이나 수당보다는 가불이 많았다.
여기에서 그의 수수께끼가 시작된다.
장 박사에 대해 떠도는 미신에 가까운 풍문 때문에
전국의 가난한 수술 환자들과 다른 병원에서 치료가
불가능하다는 판정을 받은 말기 암 수술 환자들이
부산 복음 병원으로 몰려들었던 것이다.
겨우 입원을 하고 수술을 받아 병이 나으면
그 다음에는 또 다른 문제가 생겼다.
그들 대부분은 입원비와 약값이 없었다.
이 때 마지막으로 찾아가는 곳이 원장실이었다.
원래 잇속이 밝지 않아 셈을 잘 할 줄 모르고
바보 같을 정도로 마음이 착한 장 박사에게
"시골 우리 집은 논도 밭도 없고 소 한 마리도 없는
소작농이어서 입원비나 치료비를 부담할 능력이 없습니다."라고
환자들이 병원비 대신에 병원에서 잡일을 하는 것으로
대신할 수는 없겠느냐는 환자들의 제안에 장 박사는
환자의 치료비 전액을 자신의 월급으로
대신 처리하고는 하였다. 병원 행정을 이렇게 하다 보니
장 박사의 월급은 항상 적자였고,
이것이 누적되면서 병원 운영도 어려워지게 되었다.
결국 병원 회의에서 결정이 내려졌다.
앞으로 무료 환자에 관한 모든 것은 원장님 마음대로 하지 못하고
부장 회의를 거쳐 결정한다는 것이었다.
그렇다고 가난한 환자들이 장 박사를 찾아오지 않는 것은 아니었다.
모든 결정권을 박탈당한 이후부터 장 박사는 어려운 환자들이 생기면
] 야밤에 탈출하라고 알려주고는 하였다.
"내가 밤에 살그머니 나가서 병원 뒷문을 열어 놓을 테니
탈출하라."는 것이었다. 장 박사의 이러한
'바보 이야기'는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많다.
북녘에 두고 온 아내와 가족에 대한 그리움을 가슴에 묻고
지낸 장기려 박사는 평생에 걸쳐 묵묵히 사랑을 실천한,
진실로 아름다운 예수의 사람이었다.
이산의 아픔 삭이며 희생과 봉사의 삶 살다간 참 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