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개 내 (Gaenea)
감동을 주는 글

병원 뒷문을 살짝 열어 놓겠소.

by joolychoi 2013. 5. 28.

 

 

 

항상 가난한 사람의 편이었던 장기려 박사<이미지ㅣEBS 캡처>
 
 
  병원 뒷문을 살짝 열어 놓겠소.  
 

장기려 박사가

부산 복음병원의 원장으로 있을 때의 일이다.

복음병원에는 가난하거나 다른 병원에서 치료가

불가능한 말기 환자들이 그에게

진찰이라도 받아 보고 죽겠다며 몰려들었다.

하지만 막상 치료를 받고 나면 치료비와 약값을

낼 형편이 못 되는 환자들 때문에 자신의 월급에서

대신 갚아주느라 그는 늘 가난했다.

 

그러던 어느 날 밤늦게 그의 방에 한 청년이 찾아왔다.

청년은 몹시 불안한 표정으로 어쩔 줄 몰라 하며

주위를 두리번거렸는데 두 눈이 빨갛게 충혈 되어 있었다.

 

"무슨 급한 일이 있기에 이렇게 늦은 밤에 나를 찾아왔나요?"

그가 부드럽게 묻자 청년은 용기를 얻은 듯 더듬거리며 말했다.

"사실은 저의 어머니가 수술을 해서 살아나셨습니다.

그런데 치료비 때문에 퇴원을 못해서 ….

어머니를 퇴원시켜 주시면 제가 무슨 수를 써서라도

그 돈을 나중에 꼭 갚아 드리겠습니다."

청년은 큰소리로 흐느껴 울며 애원했다.

 

그러자 한참 동안 아무런 말도 하지 않고 있던 그가

청년의 두 손을 꼭 잡아 주며 조용히 입을 열었다.

"왜 이리 소란스럽게 합니까.

이런 얘기는 조용조용하게 해야지

누가 들으면 어쩌려고 그럽니까?

 

당신이 언제 나갈 건지 내게 알려 주면,

그 시간에 맞춰 내가 병원 뒷문을 살짝 열어 놓을 테니

조용히 나가시오. 대신 조건이 있소."

 

청년이 무슨 조건이든지 다 받아들이겠다고 하자

그가 웃으며 말했다.

 

"내가 문을 열어 줬다고 소문을 내면 안 됩니다.

그러면 앞으로 난 아무도 도와줄 수가 없게 됩니다.

그것만 지켜 주면 됩니다."

 

 

--<좋은 글> 중에서--

 

장기려 의사    

장기려(張起呂, 1911년 8월 14일 ~ 1995년 12월 25일)는

대한민국의 외과 의사, 의학자, 종교인, 자선가이며,

본관은 안동(安東)이고 호는 성산(聖山)이다.

생애 의학 공부 장기려는 1911년 평안북도 용천에서 아버지 장운섭과

어머니 최윤경 사이에.첫째아들로 출생하였으며,

송도고보와 1928년 경성의학전문학교를 졸업하였고,

그 후 외과의사 백인제 박사의 제자로서 수련하였다.

당시 병원에 입원 중이던 문학가 춘원 이광수가 장기려 박사를 알게 되어 소설

《사랑》 의 주인공 "안빈" 의 모델로 삼았다는 설이 유력하나,

장기려 박사 자신은 춘원이 창작한 소설 속의 인물이라며 부인했다.[

 

경력 경력 더보기

1993 ~ 한국청십자 사회복지회 명예대표이사

1985 ~ 한국장애자재활협회 부산지부장

부산복음병원 초대원장 (설립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교수 등

(위키백가에서발췌)

 

장기려 박사의 묘지(경기도 마석의 모란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