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최씨는 시조를 각각 다르게 하는 4계통이 있다.
※ 이해를 돕기 위하여 世와 代의 다른 점을 먼저 올립니다.
世 : 시조를 1世로 하여 아래로 내려갈 경우에는 世라 칭함
代 : 자신을 빼고 아버지를 1代로 올라가며 계산하는 것을 代라 칭함
文 成 公 崔 阿 계통
始祖 文成公은 諱가 阿이며, 字는 衡之(형지)이고, 諡號는 文成公이며, 完山君이라는
尊號를 받았다.
完山府開國伯 文烈公 崔純爵(완산부개국백 문열공 최순작)의 7세손으로
忠肅王(충숙왕) 때 門下侍中(문하시중)에 올라 完山君(완산군)에 봉해진 始祖 文成公 崔 阿
태어나고 돌아가신 해 그리고 할머니에 대한 기록은 전해오지 않는다.
○ 자리는 돌림자 자리가 아님
世
(代) |
行 列 |
世
(代) |
行 列 |
世
(代) |
行 列 |
16世
(15代) |
確認 할 수 없슴 |
26世
(25代) |
○林(임), ○根(근) |
36世
(35代) |
○來(래) |
17世
(16代) |
爀(혁)○ |
27世
(26代) |
然(연)○, 炯(형)○ |
37世
(36代) |
炯(형)○ |
18世
(17代) |
○培(배) |
28世
(27代) |
○喆(철), ○基(기) |
38世
(37代) |
○在(재) |
19世
(18代) |
銓(전)○ |
29世
(28代) |
鎔(용)○, 錫(석)○ |
39世
(38代) |
鉉(현)○ |
20世
(19代) |
○洪(홍) |
30世
(29代) |
○準(준), ○澤(택) |
40世
(39代) |
○海(해) |
21世
(20代) |
秉(병)○ |
31世
(30代) |
種(종)○, 柱(주)○ |
41世
(40代) |
權(권)○ |
22世
(21代) |
○烈(렬) |
32世
(31代) |
○默(묵), ○熙(희), ○燁(엽) |
42世
(41代) |
○熔(용) |
23世
(22代) |
圭(규)○ |
33世
(32代) |
廷(정)○, 載(재)○, 在(재)○ |
43世
(42代) |
未 定 |
24世
(23代) |
○鎬(호) |
34世
(33代) |
○錫(석), ○鉉(현), ○鎭(진) |
44世
(43代) |
未 定 |
25世
(24代) |
洛(락)○, 漢(한)○ |
35世
(34代) |
永(영)○ |
45世
(44代) |
未 定 |
궁금하거나 자료의 확인이 필요하신 분께서는 全州崔氏 文成公子孫 에서 더 보실 수 있습니다
[ 대표적 인물 ]
崔 阿(최아)
고려 忠肅朝때 門下侍中 平章事로서 完山君에 封해졌으며, 諡號는 文成公이시다.
崔龍角(최용각)
고려 忠肅朝때 寶文閣大提學 檢校大護君으로 계셨으며, 諡號는 文忠公이시다.
崔 哲(최 철) 菊村先生
조선 건국기에 李太祖가 세차례나 불렀으나 不就하다가 太宗이 다시불러 隱逸判書로
黃喜와 더불어 章程[國法]을 制定하였고, 諡號는 文簡公이시다.
尨村(방촌) 黃喜, 陽村(양촌) 權根, 牧隱(목은) 李穡 등과 교분이 깊었으며, 無學大師
(무학대사)가 묘자리를 생존에 정해주었다[선영: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대아리]고
전하여옴.
文 烈 公 崔 純 爵 계통
始祖 崔純爵(최순작) 시호는 文烈(문열)은 고려 정종 때 문과에 급제하고, 문하시중으로
완주(전주) 개국백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최순작을 1세조로 하고 본관을 전주로 했다.
世 (代) |
行 列 |
世 (代) |
行 列 |
世 (代) |
行 列 |
21世 (20代) |
確認 할 수 없슴 |
31世 (30代) |
東(동)○ |
41世 (40代) |
相(상)○ |
22世 (21代) |
確認 할 수 없슴 |
32世 (31代) |
○燮(섭) |
42世 (41代) |
○陽(양) |
23世 (22代) |
確認 할 수 없슴 |
33世 (32代) |
遠(원)○ |
43世 (42代) |
用(용)○ |
24世 (23代) |
○鎭(진) |
34世 (33代) |
○鎬(호) |
44世 (43代) |
未 定 |
25世 (24代) |
澈(철)○ |
35世 (34代) |
承(승)○ |
45世 (44代) |
未 定 |
26世 (25代) |
○植(식) |
36世 (35代) |
○根(근) |
46世 (45代) |
未 定 |
27世 (26代) |
炳(병)○ |
37世 (36代) |
容(용)○ |
47世 (46代) |
未 定 |
28世 (27代) |
○奎(규) |
38世 (37代) |
○敎(교) |
48世 (47代) |
未 定 |
29世 (28代) |
鍾(종)○ |
39世 (38代) |
善(선)○ |
49世 (48代) |
未 定 |
30世 (29代) |
○洛(락) |
40世 (39代) |
○洙(수) |
50世 (49代) |
未 定 |
[ 대표적 인물 ]
崔鳴吉(최명길) : 그는 인조반정 때 1등공신으로 대제학, 영의정을 역임했다.
崔錫鼎(최석정) : 최명길의 아들. 숙종 때 少論의 영수로서 당론의 소용돌이 속에서
6차례나 영의정을 역임하였다. 崔錫恒(최석항) : 최명길의 아들. 경종 때 좌의정을 지냈다.
司 徒 公 崔 均 계통
시조 崔均(최균)은 최치원의 지손으로, 고려 때 동북로도지휘사가 되어 조이총의 난 때
순절하고 완산군에 추봉되어 후손들이 최균을 1세조로 하고 본관을 전주로 하였다.
世 (代) |
行 列 |
世 (代) |
行 列 |
世 (代) |
行 列 |
21世 (20代) |
確認 할 수 없슴 |
31世 (30代) |
○鎭(진) |
41世 (40代) |
○鉉(현) |
22世 (21代) |
確認 할 수 없슴 |
32世 (31代) |
源(원)○ |
42世 (41代) |
承(승)○ |
23世 (22代) |
確認 할 수 없슴 |
33世 (32代) |
○植(식) |
43世 (42代) |
○東(동) |
24世 (23代) |
確認 할 수 없슴 |
34世 (33代) |
炳(병)○ |
44世 (43代) |
炯(형)○ |
25世 (24代) |
確認 할 수 없슴 |
35世 (34代) |
○翼(익) |
45世 (44代) |
○基(기) |
26世 (25代) |
鍾(종) |
36世 (35代) |
錫(석)○ |
46世 (45代) |
未 定 |
27世 (26代) |
○淳(순) |
37世 (36代) |
○永(영) |
47世 (46代) |
未 定 |
28世 (27代) |
秉(병)○ |
38世 (37代) |
秀(수)○ |
48世 (47代) |
未 定 |
29世 (28代) |
○燮(섭) |
39世 (38代) |
○烈(열) |
49世 (48代) |
未 定 |
30世 (29代) |
奎(규)○ |
40世 (39代) |
善(선)○ |
50世 (49代) |
未 定 |
文 忠 公 崔 群 玉 계통
시조 崔群玉(최군옥 시호: 문충)은 동주최씨의 시조 최준옹의 후손으로 고려 때 문하시랑
평장사를 지내고 완산 부원군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본관을 전주로 하였다.
世 (代) |
行 列 |
世 (代) |
行 列 |
世 (代) |
行 列 |
21世 (20代) |
確認 할 수 없슴 |
31世 (30代) |
桓(환)○ |
41世 (40代) |
未 定 |
22世 (21代) |
確認 할 수 없슴 |
32世 (31代) |
○燮(섭) |
42世 (41代) |
未 定 |
23世 (22代) |
確認 할 수 없슴 |
33世 (32代) |
周(주)○ |
43世 (42代) |
未 定 |
24世 (23代) |
確認 할 수 없슴 |
34世 (33代) |
○鎬(호) |
44世 (43代) |
未 定 |
25世 (24代) |
確認 할 수 없슴 |
35世 (34代) |
海(해)○ |
45世 (44代) |
未 定 |
26世 (25代) |
○植(식) |
36世 (35代) |
○東(동) |
46世 (45代) |
未 定 |
27世 (26代) |
炳(병)○ |
37世 (36代) |
熹(희)○ |
47世 (46代) |
未 定 |
28世 (27代) |
○奎(규) |
38世 (37代) |
○均(균) |
48世 (47代) |
未 定 |
29世 (28代) |
鎔(용)○ |
39世 (38代) |
未 定 |
49世 (48代) |
未 定 |
30世 (29代) |
○漢(한) |
40世 (39代) |
未 定 |
50世 (49代) |
未 定 |
[ 대표적 인물 ]
崔 瀁(최 양) : 최군옥의 후손. 고려 말기의 節臣(절신)으로 '杜門洞(두문동) 72賢錄
(현록)에도 들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