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개 내 (Gaenea)
자유게시판

芒 種(망 종)

by joolychoi 2008. 6. 7.

 

 

 

 

                                                플루메리아

 

 

芒 種(망 종)

 

24節氣中 아홉번째로 小滿과 夏至사이에 드는 절기로,

양력으로는 태양의 黃經이 75°에 이르는 6월 5, 6일경에서

夏至 前까지의 약 15일간을 말하며, 음력으로 4월 또는

5월에 든다. 예전에는 망종을 5일씩 끊어 三候로 나누었는데,

初候에는 사마귀가 생기고, 中候에는 왜가리가 울기 시작하며,

末候에는 개똥지빠귀가 울음을 멈춘다 하였다.

 

농사력에서 곡식의 씨를 뿌리기 좋은 시기라 하며 모내기와

보리베기를 하는 시기로, '보리는 망종 전에 베라'는 속담은

이 때 보리를 베어야 논에 모도 심고 밭갈이도 할 수 있다는

뜻이다. 또 이 시기가 지나면 무르익은 보리가 바람에 쓰러

지는 일이 많아 최소한 이 때까지는 보리베기를 마쳐야 한다.

 

芒種의 歲時風俗

 

각 지역별로 다양한 망종 풍속을 갖는데, 농사의 한해 운을

보거나 농사가 잘 되기를 빌었다. 보리를 많이 심었던 남쪽

에서는 '발등에 오줌싼다'고 할 정도로 농촌에서는 1년 중

가장 바쁜 시기이기도 하다. 芒種때는 농사일이 끊이지 않고

연 이어져 일을 멈추는 것을 잊는다고 '忘終'이라고도 했다.

말 그대로 農繁期의 최고 절정인 것이다.

 

이렇게 바쁘다 보니 자연 "불 때던 부지깽이도 거든다,

별보고 나가 별보고 들어온다."는 말까지 생기게 되었다.

이때의 바쁨을 童詩 '오뉴월' 에서 이렇게 감칠맛나게 표현했다.

 

엄마는 아침부터 밭에서 살고

아빠는 저녁까지 논에서 살고

아기는 저물도록 나가서 놀고

오뉴월 긴긴 해에 집이 비어서

더부살이 제비가 집을 봐주네.

 

또 지역마다 芒種 風俗도 달라

 

경기도를 제외한 중부 이남에서는 芒種날 하늘에서천둥 번개

가 치면 그 해 농사가 잘 되지 않는다고 믿었고, 경상도의

섬지역에서는 芒種이 빠르거나 늦게 들지 않고 음력 4월

중순에 들어야 길하다고 믿었다. 또 ‘芒種보기’라 해서 芒種이

일찍 들고 늦게 들음에 따라 그해 농사의 豊凶을 점친다.

음력 4월내에 芒種이 들면 보리농사가 잘되어 빨리 거두어

들일 수 있으나 5월에 芒種이 들면 그해 보리농사가 늦게 되어

芒種內 에도 보리 수확을 할 수 없게 된다고 한다.

 

전라도 지방에서는 망종날 ‘보리 그스름’이라 하여 아직 남아

있는 풋보리를 베어다 그스름을 해 먹으면 이듬해 보리 농사가

잘 되어 곡물이 잘 여물며 그해 보리밥도 달게 먹을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이 날 보리를 밤 이슬에 맞혔다가 그 다음날

먹는데 이렇게 하면 허리 아픈 데 약이 되고

그 해를 병 없이 지낼 수 있다고 믿었다.

 

그 밖에 芒種날 풋보리 이삭을 뜯어 손으로 비벼 껍질을

벗긴 후 솥에 볶아서 맷돌에 간 다음, 체로 쳐서 그 보릿

가루로 죽을 끓여 먹으면 여름에 보리밥을 먹고 배탈이 나지

않는다는 속설도 있는데, 모두 지나간 시대의 망종 풍속도로서,

지금은 命脈만 남아 있거나 口傳되는 실정이다.

 

[引用하며 쓴글 - 雪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