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조 묘사 일
묘사를 묘베. 세일사.시사. 시향이라고도 한다
묘사는 성묘의 발전으로 조상의 묘소를 수호하려는 의지가
오늘 날까지 그대로 전승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될 것이다.
묘사를 지내는 시기는 3월이나 10월에 날을 정하여 행사한다.
오늘 날은 거의 10월 묘사를 지낸다.
묘사는 기일과 관계없이 지내며 4대 봉사가 지난 조셍에게 지내는
제사는 묘사뿐이다.묘사는 성씨의 시조부터 묘소가 있으면 묘소에서,
실전 되었으면 설단 후 단소에서 묘사를 지내기도 한다.
10월에 5대조 이상 모든 조상에 대해 일일이 묘소를 다니면서
제사를 지내거나, 시조(始祖)를 중심으로 합사(合祀)하여
지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묘사라고 한다.
그래서 10월에 묘소에서 지내는 관행적인 시제의 경우,
분정기에‘묘사’혹은 축문에 ‘세사(歲祀)’라고 하여
묘사라고 칭하고 있다.
기제사는 참사자가 당내친(堂內親)에서 멀어야 3종, 4종을 넘기 어렵다.
그러나 시조, 중시조, 현조의 묘사는 참사자의 범위가 후손 모두로
훨씬 넓으니 수십, 수백 명의 참사자가 운집하여 성황을 이루기 때문에
제사 지내는 절차를 정하여 기록, 비치하였다가 행사(行祀) 때
집례가 제사의 절차를 창홀하면서 제사를 지내는 예가 많다.
묘사의 절차를 적은 것이 홀기인데 이는 큰 묘사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제주(祭主)
제주는 고인의 장자 또는 장손이 되며, 장자 또는 장손이 없는 경우에는 차차
또는 차손이 제주가 되어 제사를 주재한다. 상처한 경우에는 남편이나
그의 자손이 제주가 되고 자손이 없이 상부(喪夫)한 경우에는 아내가 제주가 된다.
제주(祭主))라 함은 제사를 맡아서 지내는, 즉 제사를 주재하는 사람을 말한다.
<일반 묘사 절차>
① 참사자서립(參祀者序立) : 모든 참사자는 묘소 앞에 나아가 제자리에 선다.
② 진설(進設) : 제수를 진설한다.
③ 강신(降神) : 초헌관은 꿇어앉아 세 번 향을 사르고 난 후 서집사가 잔반을
초헌관에게 주면 동집사가 술을 따른다. 헌관이 땅에 세 번 지우고 난
빈잔
을 서집사가 받아 원래의 자리에 올린 다음 초헌관은 재배한 후
제자리에 간
다.
④ 참신(參神) : 모든 참사자가 재배한다.
⑤ 초헌(初獻) : 초헌관이 묘위 앞에 나아가 꿇어앉으면 서집사가
잔을 초헌관
에게 내려 주면 동집사는 술을 따른다. 초헌관은 잔을 받아
정성껏 받든 잔
을 서집사가 받아 원래의 자리에 올리고 정저한다.
⑥ 독축(讀祝) : 축관은 초헌관의 왼편에서 동향해 꿇어앉아 독축한다. 이때
초헌관 이하 모든 참사자는 부복한다. 축관은 독축이 끝나면
제자리로 가고
참사자는 일어서고 초헌관은 재배 후 자리로
돌아간다.
⑦ 아헌(亞獻) : 초헌과 같이 하되 독축은 없다.
⑧ 종헌(終獻) : 아헌과 같이 한다.
⑨ 정저(正箸) : 술 이외의 제수를 흠향하시도록 정저한 후 참사자는 2~3분
동안 부복이나 국궁 한 후 바로 선다.
⑩ 하시저(下匙箸) : 수저를 내린다.
⑪ 사신(辭神) : 참사자 모두 신위께 재배한다.
⑫ 철찬(撤饌) : 집사자가 제수를 물리고 독축자는 축문을 불사른다.
⑬ 음복(飮福) : 제수를 먹으며 조상의 음덕을 기린다.
독축이 없으면 단헌이다. 『가례』나『사례편람』에는 묘사에 유식[첨작 : 삽시정저]의 절차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