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눌지왕 때의 충신 박제상이
고구려와 일본에 볼모로 잡혀간 왕자를 구한 후
자신은 죽음을 당하는 설화이다.
그의 아내가 기다리다가 죽어 망부석이 되었다는
아내의 죽음 설화도 포함된다.
《삼국유사》에는 김제상으로 되어있다.
박제상은 고구려에 볼모로 잡혀간
왕제 보해(寶海:삼국사기에는 卜好)를 구하러 변복을 하고 가서
왕의 추격을 무릅쓰고 같이 탈출하여 무사히 귀국하였다.
다음에는 일본에 볼모로 잡혀가 있는 왕제 미해
(美海:삼국사기에는 未斯欣)를 구하러 가서
신라를 도망해 왔다고 하며 왕의 신임을 얻은 후에
미해를 탈출시키고 자기는 붙잡혀서 문초를 받았다.
일본왕의 문초와 설득에도
" 차라리 계림의 개나 돼지가 될지어정 왜국의 신하는 되지 않겠으며
차라리 계림의 벌을 받을지언정 왜국의 벼슬이나 녹을 먹지 않겠다."
라는 말로계림사람임을 주장한 후에 발바닥의 껍질을
벗기운 채 불타 죽었다.
'삼국사기'의 기록과 대조해보면
등장인물의 이름에 차이가 있고,
왕제의 부하 이름이 '삼국유사'에는 보이지만
'삼국사기'에는 보이지 않는데,
이것은 사실상 부사가 따라간 것을 밝힌 것도 되고,
박제상이 귀환 활동을 할 때 협조를 얻어
자기 외에 다른 사람이 귀국할 수 있게 설정한 것이기도 하다.
'삼국사기'에는 고구려왕을 설득하였더니
순순히 왕제를 풀어 주었다고 하여 박제상의 언변을 중시하였고,
'삼국유사'는 야간 탈출을 하였다고 해서 담력과 지혜를 중시하였다.
두 기록 다 박제상이 집에 들르지 않고
즉시 일본으로 떠났다고 한다.
이것은 부부나 가정의 정보다 국가가 더 중요하다는
박제상의 충성심을 드러내면서도 인간적인 고뇌를 함께 드러낸
대목이다. 그러나 이들 문헌은 박제상의 사실(史實)을 중심으로
기록된 것이므로 민간 설화 측면에서는 박제상 부인편을
드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남편이 집을 떠나자 몸부림쳐 울었고
(그래서 망덕사 앞 모래탑을 장사(長沙)라고함),
만류를 뿌리치고 다리를 뻗고 울었고 (그래서 그곳을 伐知旨라함)
일본에 간 남편을 치술령에 올라가 그리워하다가 죽어서 치술령
신모가 되었으며,그 사당이 지금까지 있다는 '삼국유사'의 기록은
'삼국사기'보다 설화적인 증거를 많이 제시하고 있다.
]박제상의 아내는 일본에 간 남편이 돌아오기를 기다리다가 지쳐
죽어서망부석이 되었는데, 그곳의 주민은 아직도
부인의 정렬을 칭송하고 있다고 한다.
망부석 - 김태곤
간 밤에 울던 제비 날이 밝아 찾아보니
처마끝엔 빈 둥지만이
구구만리 머나먼길 다시 오마 찾아가나
저 하늘에 가물거리네
에해야 날아라 해야 꿈이여 그리운 내 님계신곳에
푸른 하늘에 구름도 둥실둥실 떠가네
높고높은 저산넘어로
내꿈 마져 떠가라 두리둥실 떠가라
오매불망 내님에게로
깊은밤 잠 못이뤄 창문열고 밖을보니
초생달만 외로이 떳네
멀리 떠난 내님 소식 그언제나 오실텐가
가슴 졸여 기다려지네
에해야 날아라 해야 꿈이여 그리운 내 님계신곳에
달 아래 구름도 둥실둥실 떠가네
높고높은 저산넘어로
내꿈 마져 떠가라 두리둥실 떠가라
오매불망 내님에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