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계룡산 갑사 문화유적
![](https://t1.daumcdn.net/cfile/cafe/17333E264C2354ED4B)
계룡산 갑사 일주문
![](https://t1.daumcdn.net/cfile/cafe/19333E264C2354F04C)
계룡산 갑사 문화유적을 답사차 들어가는 서호회원들
![](https://t1.daumcdn.net/cfile/cafe/12333E264C2354F24D)
계룡산 갑사 사천왕문
![](https://t1.daumcdn.net/cfile/cafe/14421B264C2355CA71)
계룡산 갑사 안내판
![](https://t1.daumcdn.net/cfile/cafe/18421B264C2355CD72)
계룡산 갑사 대웅전 (유형문화재 제105호)
![](https://t1.daumcdn.net/cfile/cafe/11421B264C2355CF73)
계룡산 갑사 대웅전 불상
![](https://t1.daumcdn.net/cfile/cafe/12421B264C2355D174)
계룡산 갑사 대웅전을 살펴보는 서호회원들
![](https://t1.daumcdn.net/cfile/cafe/15421B264C2355D375)
계룡산 갑사 천불전- 백제 무령왕 3년에 건립했다는 설이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9421B264C2355D676)
계룡산 갑사 동종(보물 제 478호) -조선시대 종으로 높이 1.27m
![](https://t1.daumcdn.net/cfile/cafe/13421B264C2355D977)
계룡산 갑사 동종(보물 제 478호)의 아름다움
세부에 음통이 없고 종 몸체에 연꽃, 梵字 당초문과 지장보살상이 부조되어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56043274C2356F23B)
계룡산 갑사 대적전(유형문화재 제106호)
![](https://t1.daumcdn.net/cfile/cafe/186043274C2356F43C)
계룡산 갑사 대적전(유형문화재 제106호) 불상
![](https://t1.daumcdn.net/cfile/cafe/126043274C2356F73D)
계룡산 갑사 대적전 앞에 있는 부도 (보물 제 257호)-
고려시대에 건립한 높이 2.05m의 팔각원당형부도로 조각이 화려하고 아담하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36043274C2356FA3E)
계룡산 갑사 부도(보물 제 257호)의 정교한 조각 솜씨- 기단부에는 사자상과
악기를 연주하는 천인상부도, 몸돌에 사천왕상, 상륜부에 연꽃 등이 아름답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66043274C2356FC3F)
계룡산 갑사 철당간 지주(보물 제 256호)를 설명하는 하림 황만수 해설자
![](https://t1.daumcdn.net/cfile/cafe/186043274C2356FF40)
계룡산 갑사 철당간(보물 제 256호) - 높이 15m의 철제깃대
680년(문무왕 20년)에 건립한 지름 50cm의 원통 24개를 연결한 깃대
![](https://t1.daumcdn.net/cfile/cafe/176043274C23570141)
계룡산 갑사 공우탑(公牛塔)을 관찰하는 서호회원들과 등산인
![](https://t1.daumcdn.net/cfile/cafe/116043274C23570442)
계룡산 갑사 공우탑(公牛塔) - 혼자서 암자까지 짐을 나르던
영리한 소가 늙어 죽자 스님들이 은공을 기려서 이 탑을 세웠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56043274C23570743)
계룡산 갑사 금계암- 계룡산 이름이 이 바위에서 나왔다는 표시
![](https://t1.daumcdn.net/cfile/cafe/186043274C23570944)
계룡산 갑사(甲寺) 안내
o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52번지
o「秋甲寺 春麻谷寺」- 가을 풍경은 갑사이고 봄 풍경은 마곡사이다.
o 420년(백제 구이신왕 1년)에 아도화상이 창건했다고 한다.
백제 무령왕 3년(530)에 千佛殿을 창건했다는 기록도 있다.
웅진 백제시대의 큰 사찰이었다.
o 임진왜란 때 왜군이 불태운 것을 조선중기∼ 후기까지 여러해 동안
조금씩 복구하여 왔다.
o 대웅전(大雄殿)- 1604년에 재건한 건물인데 처음 자리에서
옮겨 이 곳에 건립했다.
• 금당으로는 대적광전, 강당, 응향각, 팔상전, 진해당, 적묵당,
삼성각 등이 있어 아담하고 포근하다.
&&& 사진촬영 및 정리 : 白岩 金在完 &&&
백암 선생께서(10.07.13) 메일로 보내주신 자료게시물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