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개 내 (Gaenea)
문화예술,자연,생태 ,역사,기타

남양주시 홍릉·유릉(洪陵·裕陵)-세계문화유산

by joolychoi 2010. 8. 3.

 

  남양주시 홍릉·유릉(洪陵·裕陵)-세계문화유산  

o 소재지 :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141-1번지                                      

o  969년(고려광종 20) 법인국사(法印國師) 단문(担文)이 창건했다.(운학사)

 o 홍릉은 26대 高宗과 元妃 明星皇后 閔氏의 합장릉이다.                          

 o 유릉은 27대 조선 마지막 왕 純宗과 元妃 순명효황후 閔氏와                    

 순정효황후 尹氏의 능이다.                                                          

 o 1897년 국호를 「대한제국」연호를 광무」, 칭호를 황제라 하여             

    자주독립을 선언했다.                                                                    

o황제릉의 적을 갖추기 위하여 명나라 太祖陵인 孝陵을 본 따서 조성.    

 

경기도 구리시 홍릉 . 유릉 안내도

 

경기도 구리시 홍릉 . 유릉 설명자료판

 

앞면에서 바라본 경기도 구리시 유릉(27대 순종황제 능) 

  

 유릉의 침전(제전) 앞의 양쪽에 높이3.85m 큰 석상 7쌍 (말, 양

  해태,호랑이, 낙타, 코끼리, 기린)과 문무석 각 한 쌍이 서있다.

 

왼쪽 석상을 보면 말, 낙타, 양, 해태, 호랑이, 코끼리,

기린과 무인석, 문인석 순으로 있다.

 

침전(제전) 앞에서 현지 가이드의 설명을 듣는 서호회원들

 

침전(제전) 앞에서 문인석,무인석을 비롯해서 일곱동물들의

석상을 두줄로 배치했다.

 

유릉은 27대 조선 마지막 왕 純宗과 元妃 순명효황후 閔氏와 순정효황후 尹氏의 능

 

유릉의 봉분 3면은 곡창을 둘렀고, 정면에는 상석, 망두석, 장명등,

 향로석을 세우고 12지상을 새긴 병풍석에 난간석을 둘렀다. 

 

유릉 앞에서 현지 설명자와 하림 선생과의 황제릉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앞면에서 바라본 경기도 구리시 홍릉(26대 고종황제 능) 

 

정면에서 바라본 경기도 구리시 홍릉의 석상과 침전(제전) 

 

 홍릉은 26대 高宗과 元妃 明星皇后 閔氏의 합장릉이다.

 

홍릉의 봉분 3면은 곡창을 둘렀고, 정면에는 상석, 망두석, 장명등,

 향로석을 세우고 12지상을 새긴 병풍석에 난간석을 둘렀다.   

 

 홍릉의 봉분 3면의 곡창과 12지상을 새긴 병풍석에 난간석을 두른 것을 살펴보고있다.

  

현지 가이드의 도움으로 홍릉의 봉분 앞에서 기념촬영하는 서호회원들  

 

홍릉의 봉분 있는 곳에서 바라본 침전(제전)과 뜰의 석상들

 

재실 앞에서 바라본 홍릉과 침전(제전)과 석상

 

 

  朝鮮 王陵에 대하여 

   1) 묘의 종류 : 陵, 園, 墓 (능은 왕과 왕비, 원은 세자와 세자빈.                         

세손과 세손빈. 묘는 빈, 왕자, 공주의 무덤) 태실로 분류한다                              

   2) 王陵의 수량 : 119기(서울 5, 북한 2, 강원도 1, 경기도                   

   36곳(42기) 원 13기, 묘 64기...... 27왕, 518빈 .                      

   3) 능의 양식 : 단릉, 쌍릉, 삼연릉, 同原異岡陵, 합장릉                                    

    4) 장례 준비 : 국장시, 빈전도감, 국장도감, 산릉도감 설치 → 택지           

    5) 능역 조성 : 재실(능창봉 거소) → 홍살문(잡귀금지) →참도진설 →                              

       수복청(제물준비) → 정자각(제실) →애감(左 축문 태우는 곳) 비각                             

      (右 능주표시 돌) → 사초지(莎草地 경사지)                                                              

     6) 묘역 조성 : 세조이후 회격(灰隔)을 석실 대신사용. (석회 +황토+고운모래+물)              

          <뒷면> 곡장(左右> 石虎 2쌍, 石羊 2쌍,(주촌은  1/2 ) 문인석 1쌍, 무인석 1쌍, 말 2쌍       

     <앞면> 병풍석 → 난간동자석 → 상석(귀면받침) → 장명등 → 망주석                          

    o 황제의 묘역(홍류릉) : 一字 신각, 석물 7쌍 등 차이가 있다.                                       

 

*** 사진촬영 및 정리 : 白岩 ***

 

 


백 암( 10.06.14 ) 께서 메일로 보내온 개시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