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개 내 (Gaenea)
좋은그림 및 포토

신윤복의 생애와 작품

by joolychoi 2008. 10. 25.

****

출생에서 사망까지 베일에 싸인 신비로운 조선시대 화가 신윤복.

김홍도 김득신과 더불어 조선 3대 풍속화가인 신윤복을 소재로 한

전시, 드라마, 영화 등이 인기를 끌면서 그가 새롭게 조명받고 있다.

 

하지만 2008년 문화계 아이콘으로 떠오르고 있는 그에 대한 정보는

'0'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화가 집안에서 태어나 풍속화를 그렸다는 이유로

도화서에서 쫓겨났다는 이야기 정도가 '설'로 남아 있을 뿐

그에 대한 기록이 '전무'하기 때문에 학자들마다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다.

◆ 신윤복은 도화서 화원이었나

신윤복은 화가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증조부 신일흥과 종증조부 신세담은

도화서(圖畵署)에 소속된 화원(畵員)으로 알려졌다.

부친 신한평은 영조 때 임금의 화상인 어진(御眞) 제작에 참여한 화원이었다.

 

하지만 신한평은 정조시절 낙마해 정조 12년(1788) 귀양을 간 기록이 있다.

하지만 신윤복이 부친이나 조부처럼 도화서에서 일했는지는 확실치 않다.

이원복 국립전주박물관장은

"각종 의궤에서 신윤복 이름이 보이지 않는다"며

"그가 화원으로 활동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어느 문헌을 찾아봐도 신윤복이 화원으로 활동했다는 기록은 없다"며

"또 조선시대에는 부자가 같은 곳에서 근무할 수 없었다"고 덧붙였다.

신윤복을 소재로 한 소설 '색, 샤라쿠'의 저자 김재희 씨도

"아버지가 화원이었으니 신윤복도 시험 정도는 보지 않았을까 하는 추측만 있다"고 말했다.

 

화원이었는지의 여부는 불분명해도 그는 수많은 풍속화를 그렸다.

 

국보 제135호 '혜원전신첩(蕙園傳神帖)'를 비롯해 '탄금(彈琴)', '미인도(美人圖)' 등

조선 여인의 아름다움을 잘 드러낸 걸작을 많이 그렸다.

 

반면 신윤복이 화원이었다는 주장도 있다.

이태호 명지대 미술사학과 교수는

"조선시대 화원은 집안 대대로 전해지는 직업으로 신윤복의 아버지와 할아버지 모두 화원이었다"며

 

"또 오세창이 정리한 '근역서화징'에 신윤복이 화원이었다는 기록이 있다"고 말했다.

◆ 김홍도와의 관계는

김홍도와 신윤복은 조선후기 시대 동시대 인물이었지만

그 둘이 사제관계였다는 기록은 역사에 남아있지 않다.

 

화풍으로 봤을 때 신윤복이 김홍도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는 설이 존재할 뿐이다.

조선시대 기록에 신윤복과 김홍도가 사제관계였다는 기록은 없지만

그 둘이 스승과 제자 사이였다는 견해도 있다.

 

이태호 교수는 "김홍도와 신윤복은 동시대 살았던 화가들"이라며

"둘의 화풍을 비교해봤을 때 신윤복은 김홍도의 화풍을 따랐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주장했다.

김재희 작가 역시

"두 사람의 작품을 비교해 볼 때 신윤복이 김홍도를 모사한 부분이 굉장히 많이 보인다"며 "그림 원본을 접하기 어려웠던 당시를 돌이켜 보면 신윤복이 김홍도의 제자였거나 최소한 가까운 사이였을 가능성은 크다"고 밝혔다.

◆ 신윤복은 플레이보이였나

자유분방한 삶을 살았다는 신윤복은 한량과 기녀 등 남녀 사이 정을 주로 그렸다.

그의 작품에 주로 등장하는 여인들은 틀에 박힌 캐릭터가 아니라

자유 연애를 즐기는 관능적인 여성상으로 그려졌다.

 

이는 신윤복이 활약하던 사회 분위기에서는 받아들여지기 힘든 화법이었다.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그림을 그렸다는 사실에서

그가 플레이보이였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미술작품은 대부분 본인의 경험을 반영하기 때문이다.

김재희 작가는 "금기시되던 기방에 대한 그림도 많고 작품의 필치를 볼 때

신윤복은 풍류를 즐길 줄 아는 사람이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 남자인가 여자인가
드라마 '바람의 화원'에서 신윤복은 남장여자로 등장한다.

문근영이 연기하는 신윤복은 중성적인 매력으로 시청자들을 사로잡고 있다.

 

TV에서는 신윤복이 여자로 설정돼 있지만 그는 남자다.

남존여비 사상이 심했던 당시 조선사회에서 여성이 화가로 사회 일을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했다.

 

김달진 미술연구소장은 "신윤복이 남자라는 사실은 모든 미술사학자들이 동의하는 내용"이라며 "당시 사회분위기상 여성이 풍속화가를 그리기는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승환 기자 / 손동우 기자]

 
*****

 신윤복 申潤福 1758(영조 34)~? 조선후기의 화가.
자는 입부(笠夫), 호는 혜원(蕙園). 본관은 고령(高靈). 화원(畵員).

벼슬은 첨정(僉正)에 올랐다.

 

혜원 신윤복은 정확한 생존시기가 알려져 있지 않은 화가이나,

김홍도로부터 영향을 받은 사람이다.

 

그러나 신윤복은 김홍도에게서 받은 영향을

창조적으로 재해석하고 새롭게 변화시켜서

그만의 독창적인 화풍을 창안하여

김홍도와 함께 쌍벽을 이루는 풍속화의 대가가 되었다.

 

당시의 서민 사회의 풍속을 매우 세밀하게 잘 그려,

김홍도와 함께 조선의 대표적인 화가로 손꼽힌다.

 

훌륭한 그림을 많이 그려 한국 미술사에 커다란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나,

생애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특히 양반 중심의 체계적 문화에서 벗어나 부녀자들을 그리는 등

그림의 소재의 다변화를 꾀하였다.

 

시골 주막의 서정적인 풍속을 날카로운 화필로 잘 그려냈다.

현 사회에 살고 있는 인간들의 참된 모습을 즐겨 화폭에 담았다.

 

김홍도와 함께 조선사회의 대표적인 화가로 손꼽히며

그의 작품 중 대다수는 알려져 있지 않은 것이 주류이다.

 

비록 김홍도처럼 임금님 밑에서 그림을 그리지는 않았으나

그만의 대단한 선과 아름다운 필체로 사람들의 탄성을 자아냈다.

 

그의 작품대다수는 항상 부녀자들이 나오며 양반도 어김없이 등장한다.

 

대부분 양반들은 앉은 자세로 향연을 즐기고 있는 모습이며

부녀자들은 춤추고 노래하고 술을 따르며

기생으로서의 본분을 다하고 있는 모습이다.

 

우리 민족의 민속놀이나 흥겨운 농악을 그린 김홍도에 비해

신윤복은 세밀하고 표독스러운 느낌을 멋지게 자아냈다고 볼 수 있다.

 

그는 사물의 모습을 한층 더 화사하고 화려하게 돋보이기 위하여

배경을 그 색에 맞게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미인도
조선시대의 미인상은 오늘날의 미인상과는 많이 다르죠?
얼굴에 볼살이 통통하게 올라와있고
작은 입술에 가는 눈매를 가진 단아한 여인이
섬세하게 그려져있는데 단조로운 그림이지만
노리개를 만지는 손이며,
살짝 고개를 숙인 얼굴이며,
여성스러워 보이는 한복의 매무새까지,
신윤복의 뛰어난 묘사력을 대표해주는 작품이 될만합니다.
신윤복의 연인이였던 기생을 그렸다는 설이 있지만
정확하지는 않습니다.
 
 

 
 

 
*기다림
 
누군가를 기다리고 있는 여인의 모습입니다.
뒤로 하고 있는 손에는 스님의 옷과 모자가 들려있는데,
그로봐서는 스님을 기다리고 있는것이라고 추측을 하고 있습니다.
신윤복의 그림은 배경의 물체 하나 하나
의미를 가지고 있어서 주의깊게 살펴봐야하는데
드리어진 버드나무가 고개 돌린 여인의 애타는 마음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계변가화 - 신윤복
 
개울가에서 빨래하는 여인들의 모습과
그 옆을 지나는 젊은 사내의 아슬아슬한 감정을 표현했습니다.
 
 
*청루소일 - 신윤복
 
방 안에 여유로운 양반이 앉아있고
마루에는 생황을 든 여인이 있으며
전모를 쓴 기생이 마당을 들어서고 있는
적막한 오후 한 때의 기방 풍경을 그렸습니다
  
 
*유곽쟁웅 - 신윤복
 
기방 문 앞에서 대판 벌어진 싸움 모습입니다.
장죽을 문 기생은 구경을 하고
붉은 옷을 입은 별감이 싸움을 말리고 있습니다.

 
 
*야금모행 - 신윤복
 
늦은 겨울 밤 기생이 동침을 원하는
양반을 따라 어디론가 가는 모습.
옛날이나 지금이나 남자들은
다 그렇고 그랬나보다.
 
붉은 옷을 입은 별감이
양반과 기생의 성매매를 중개하고 있습니다. 
 

 *연소답청 - 신윤복
 
'연소답청'이란 젊은 선비들이
푸른 새싹을 밟는다는 뜻으로
조선 후기의 양반들의
유한놀이 문화인 들놀이를 말합니다.
 
젊고 늙은 양반들이
종과 기생을 앞세워
풍취 좋은 산천을 찾아 즐기고
돌아오는 모습을 섬세한 필치로 그렸습니다.
 
 
*상춘야흥 - 신윤복
 
진달래 꽃이 피기 시작한 어느 봄날,
양반가의 후원에서 벌어진
연회의 흥취를 그렸습니다.
음악에 흠뻑 취한 주빈의 표정이
이 날의 연회가 아주 성공적이었음을 말해줍니다.
  
 
*정변야화 - 신윤복
 
어스름 봄밤에 우물가에서 일어난 일을 그린것으로
물을 길러 온 두 여인이 춘홍이 오른 듯
보름달 아래서 무언가 이야기를 나누고
돌담 뒤에서 음흉한 양반이
두 여인을 몰래 훔쳐보고 있습니다.
  
 
*삼추가연 - 신윤복
 
어린 기생의 '머리를 얹어주는'
초야권을 사고 파는 장면.
뚜쟁이라 할 수 있는 늙은 할미가
기생과 초야권을 사는 사내의
중간에서 중개를 하고 있습니다.
  
 
*이부탐춘 - 신윤복
 
이부는 과부를 뜻하니 소복을 입은 여인이
마당에서 짝짓기 하는 개와 참새를 보고 웃음을 머금고
몸종이 나무라듯 그 허벅지를 꼬집는 장면입니다.
해학적이면서도 여필종부를 강요하는 남존여비사상에 대한
날카로운 풍자를 읽을 수 있습니다.
 
 
*월하정인 - 신윤복
 
달빛 아래에서 두 남녀가 안타까운 정을 나누는 장면을
숨막힐 듯 섬세한 필치로 묘사했습니다.
안타까운 두 사람의 가슴이
두근거리는 소리까지 들리는 듯 합니다.
  
 
*전모를 쓴 여인 - 신윤복
 
배경도 없는 단순한 화폭 위에
가늘고 뚜렷한 선묘로 그려낸
아름다운 여인의 모습.
 

 

 

                                      출 처:아름다운세상 blog.chosun.com/sskim9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