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개 내 (Gaenea)
건강정보

커피믹스 고를 때 확인해야 할 모든 것들

by joolychoi 2013. 10. 13.

 

 

 

 

  

 

   

  커피믹스 고를 때 확인해야 할 모든 것들 
 
 
식품 라벨을 읽으면 가족이 건강해진다 
커피믹스에는 커피뿐 아니라 설탕, 크림 등
다양한 성분이 들어간다. 비슷한 맛이 나는 커피믹스라도
들어가는 성분은 똑같지 않다.
다양해지고 있는 인스턴트 커피믹스 제품,
무엇을 보고 골라야 할까?
 
Check 1 커피믹스의 우유 맛 성분을 살피자
 
커피믹스에서 커피 색깔을 묽게 하는 주성분은 우유가 아니다.
진짜 우유를 쓰면 생산 비용이 많이 들고 가공이 어렵다.
 
카제인나트륨 대신 무지방 우유를 넣었다고 광고하는 제품은
진짜 우유만 넣었다고 오해할 수 있지만
카제인나트륨을 빼고 무지방 우유를 아주 조금 섞었을 뿐이다.
 
우유 맛을 내는 성분은 식물성 경화유지가 주원료인 식물성
크림이다. 시판 제품에는 '무지방 우유 함유 크리머 1(물엿,
식물성경화유지,무지방 우유,제이인산칼륨,농축우유단백분말)', ' 
식물성 크림(물엿, 식물성경화유지, 천연 카제인(우유),
제이인산칼륨, 제삼인산칼슘)' 형태로 크림 성분을 표기한다.
 
식물성 경화유지는 식물성 기름을 쇼트닝 같은
고체로 만든 포화지방산이다.
 
포화지방산을 많이 먹으면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가 높아져
지방간, 동맥경화 등 심혈관계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Check 2 설탕 함량이 낮은 제품을 고르자
 
커피믹스 12g 한 봉에는 설탕 5~6g이 들어 있다.
 
커피믹스를 하루 두세 잔씩 마시는 사람은 자신이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 10~18g의 설탕을 먹는 셈이다.
 
설탕 섭취량을 줄이려고 '블랙'이라 표기된 제품을
선택한다면 반드시 설탕 함유 여부를 확인하자.
단맛을 줄였더라도 설탕이 2g 정도 든 제품 이 대부분이다.
 
Check 3 인스턴트 원두커피는 원두 함량을 살피자
 
커피 맛에 대한 기호가 다양해지면서
인스턴트 커피의 제품 종류도 늘었다.
 
원두커피 맛을 내는 인스턴트 커피 제품은
원두커피 향이 나기 때문에 커피 원두를 녹여
먹을 수 있도록 가공했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대부분 인스턴트 커피에 원두가루를 조금 섞은 것이다.  
시판 제품에는 '인스턴트 커피 95%, 볶은 커피 5%', '프리미엄
로스트 커피 93%, 커피(볶은 커피) 7%' 등과 같이 표기 한다.
볶은 커피로 표기한 것이 원두커피 양이다.
 
인스턴트 원두커피에 사용하는 인스턴트 커피는 원두커피 향을
보존하기 위해 냉동건조 등의 가공을 거친다.
향이 충분하지 않으면 합성 커피 향을 쓰기도 한다.
 
↑ [헬스조선]인스턴트 커피믹스의 라벨을 보면 무지방 우유 함유 크리머,
식물성 크림, 형태로 크림 성분을 표기한다


 
Health Tip 카제인나트륨은
1일 섭취 허용 제한 없는 안전 물질
 
커피믹스에 함유된 카제인나트륨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한 커피믹스 업체에서 식품첨가물인 카제인나트륨을 광고
전면에 내세우면서, 식품첨가물이 건강에 좋지 않다는
인식이 강한 소비자에게 의심의 불씨를 지폈다.
 
논란이 되고 있는 카제인나트륨은 우유 단백질 성분인
카제인과 수산화나트륨을 결합한 식품첨가물이다.
 
카제인은 물에 잘 녹지 않기 때문에 물에 잘 녹는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해 만든다.
 
커피믹스 지방 성분이 물에 잘 섞이게 하는 유화제
역할을 한다. 커피믹스 외에 아이스크림이나 생크림을
만들 때 거품을 없애려고 넣는다. 건강보조식품을 만들 때
단백질 보충 목적으로도 넣는다.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는 식품첨가물, 농약, 동물성
약품과 같이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화학물질이나
 
독성이 있는 물질에 대해 1일 섭취 허용량(ADI)을 정한다.
 
1일 섭취 허용량은 평생 매일 먹을 수 있는 화학물질의 1일
최대 섭취량으로, 하루에 일정량 이상 섭취하지 않게
하려는 의도다. 1일 섭취 허용량 제한이 없는 물질은
많은 양을 먹어도 안전하다는 의미다.
 
카제인나트륨은 1일 섭취 허용량이
설정되지 않 은 물질이다.
 
서성희 교수는 "카제인은 우유 단백질에서 유래한 물질이다.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만 식품첨가물로 분류되어 있다.
식품첨가물이라고 몸 에 좋지 않다는 건 오해다.
카제인은 카제인가수분해물, 카제인 포스 포펩타이드 등
여러 형태로 건강기능식품, 분유, 치즈 등에 쓴다.
 
카제인을 안심할 수 없다면 이는 우유 단백질의
안전성을 의심하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