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소(獨笑, 홀로 웃다 ) --- 정약용(丁若鏞)
有粟無人食 --- 유율무인식양식 많은 집엔 자식이 귀하고
多男必患飢--- 다남필환기아들 많은 집엔 굶주림이 있으며,
達官必창愚 --- 달관필창우높은 벼슬아치는 꼭 멍청하고*
창(春-日+臼+心)才者無所施 --- 재자무소시재주있는 인재는
재주 펼 길 없으며,家室少完福 --- 가실소완복집안에 완전한
복을 갖춘 집 드물고
至道常陵遲--- 지도상릉지지극한 도는 늘상 쇠퇴하기 마련이며,
翁嗇子每蕩 --- 옹색자매탕아비가 절약하면 아들은 방탕하고
婦慧郎必癡 --- 부혜랑필치아내가 지혜로우면 남편은 바보이며,
月滿頻値雲 --- 월만빈치운보름달 뜨면 구름 자주 끼고
花開風誤之--- 화개풍오지꽃이 활짝 피면 바람이 불어대지.
物物盡如此 --- 물물진여차세상 일이란 모두 이런 거야
獨笑無人知 --- 독소무인지나홀로 웃는 까닭 아는 이 없을걸.
경주 최 부자란 제목에 왠 사설이냐 하겠지만,
이 집안 역시 가실소완복(家室少完福 )이란 말처럼
완전한 복을 갖추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후손이 없어
양자를 들이기도 하였고 과거에 낙방하는 대(代)도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집안이 오랜기간 부와 명예를 지키며
남들로 부터 칭송을 받아온 연유는 무엇일까?잘 살았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어떻게 살아야 잘 살았다고 하는가?
우리나라의 노블레스 오블리제(Noblesse Oblige·:특권계층의
사회적 책임) 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집안이 경주 최 부자다.
경주 최 부자 집안에 관한 이야기는 그동안 여러 매체를 통해
대략은 알고 있었지만, 그중 기억에 남는 것이 인상적인
그 집안의 가훈(家訓)이었다.
집안을 다스리는 제가(齊家)의 가훈 '육훈'(六訓)과 자신의 몸을 닦는
수신(修身)의 가훈 '육연'(六然)이 그것이다'육훈(六訓)'은 진사 이상의
벼슬을 하지 마라, 만 석 이상의 재산을 모으지 말며 만 석이 넘으면
사회에 환원하라 흉년에는 남의 땅을 사지 마라, 과객(過客)은 후히 대접하라,
며느리들은 사집온 뒤 3년 동안 무명옷을 입어라.
사방 100리 안에 굶어 죽는 사람이 없게 하라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육연'은 스스로 초연하게 지내고 (자처초연:自處超然),
남에게는 온화하게 대하며 (대인애연:對人靄然),
일이 없을 때는 마음을 맑게 가지고 (무사징연:無事澄然),
일을 당해서는 용감하게 대처하며 (유사감연:有事敢然),
성공했을 때는 담담하게 행동하고 (득의담연:得意淡然),
실의에 빠졌을 때는 태연히 행동하라
(실의태연:失意泰然)다. 내가 경주에 머무른지 2달여 동안
틈틈이 몇 곳을 둘러보면서도 최 부잣집을 방문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었는데 햇살 고운 5월 어느 날 작정을 하고 길을 나섰다.
일반적으로 " 경주 최 부잣집"하면 세상에 널리 알려진대로
경주 교동에 소재해 있는 "교촌댁"을 일컫는다.
그러나 최 부잣집의 집안 내력을 사전에 인지하게 되면,
경주 내남면 이조리에 위치한 "충의당(忠義堂)"을
먼저 찾아가는 일에 망설임이 없다.경주 최 부자는
최치원의 17세 손인 최진립과 그 아들 최동량이 터전을 이루고
손자인 재경 최국선으로부터 28세 손인 문파 최준에 이르는 10대
약 300년 동안 부를 누린 일가를 일컫는 말이다.엄청난 재산을
오랫동안 간직해 온 경주 최 부자의 가문을 일으킨 사람은
바로 마지막 최 부자 최준의 11대조인 정무공 최진립장군이다.
경주 최씨 사성공파의 한 갈래인 가암파의 시조인 최진립은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왜적과 싸우고 나중에 무과에급제한 뒤
정유재란 때 다시 참전했다. 그 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최전선에서
적군과 싸우다가 순국하니 그의 나이 예순아홉이었다.
평소의 생활도 청렴하였던 최진립은 이렇듯 일생을 장렬하게 마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