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世)와 세손(世孫) 및 대(代)와 대조(代祖)에 대한의견
한국인님의 자료중 세와 세손은 같다와 대와대조는 같다라고 기록하였는데 많은 자료를 검토하고 또
우리 문성공 대종중에서는 세손과대조를 동일하게 사용 하였으며 그 증거로 안렴사공파 세헌록에 기록된 비문의 기록 내력을 첨부 합나다.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世孫과 代祖의 整理
一部에서 世孫과 代祖를 말할 때 世孫은 始祖를 一世로 하여 차례대로 自己까지 合數하여 計算하는 代數를 말하며 代祖는 自己를 빼고 바로 윗代 아버지까지를 合數하여 計算하는 代數를 말한다라고 한다.
例를 들면 23世를 基準할 때 23世는 始祖의 23世孫이고 始祖는 23世의 22代祖가 된다고 한다.
그러나 우리宗中은 古來로부터 傳來되어오는 家禮는 世孫과 代祖의 數는 同一하다. 23世를 基準할 때 23世는 始祖의 22世孫이고 始祖는 23世의 22代祖가 된다. 이는 宗中에서 發刊한 文獻(世獻錄等) 과 수비(竪碑)에서 엿볼 수 있기 때문에 하등(何等)의 이론(異論)이 있어서는 안 될 일이다.
2004年 3月 始祖文成公 墓祀때 23世의 初獻官의 祝文에서 23世孫이라고 表記 告由하였음은 宗中의 수치(羞恥)라고 하겠다.
이후(爾後) 두 번 다시 이런 우(愚)를 범(犯)하는 일이 없도록 하기위하여 世獻錄等의 表記를 증거(證據)로 하여 밝혀 두는 바이다.
2004年 6月
- 全州崔氏 始祖 文成公 大宗中 -
總務 崔 晳 林
♣ 世 獻 錄 等 表 記 證 據 ♣
墓碣銘,墓表 謹撰(지은이) 世孫 備考
16世 洵公碑 正愚(24世) 8世孫 海亭公後孫
12世 瀷公碑 琡民(19世) 7世孫 得涇公後孫
11世 琦行公碑 濟敯(20世) 9世孫 得涇公後孫
10世 潭公碑 澐(21世) 11世孫 右尹公
12世 蘇糊先生 祥雲(20世) 8世孫 義敏公
13世 通德郎碑 匡鎭(22世) 9世孫 興虎公
14世 洪公碑 昇鎭(22世) 8世孫 通德郎公後孫
13世 振虎公碑 祥雲(20世) 7世孫 察訪公
14世 溓公碑 命熙(25世) 11世孫 晩庵公
15世 由盤公碑 命熙(25世) 10世孫 監正公
16世 震望公碑 命熙(25世) 9世孫 參議公
16世 嘉善公碑 秉敦(21世) 5世孫 錫齒公
世獻錄 卷一
*名臣 24페이지 *遺逸 46페이지 *學行 49페이지
*文科 139페이지 *恭人咸平牟氏 墓碣銘 223페이지
*貞夫人 晋陽鄭氏 墓表 244페이지
*宣務郞 行平邱道 察訪 贈 軍資監正公 墓表 255페이지
*宜人牟氏 墓表 301페이지 *晩庵公 墓表 303페이지
*艮庵公 墓表 305페이지
世獻錄 卷二
*嘉善公 墓表 46페이지 *海亭重建 上梁文 217페이지
*大明處士公 墓表 421페이지
固城文化遺蹟誌:*古山齋記文 654페이지*沙湖齋記文 635페이지 *孝子崔公記實碑 689페이지 *孝子公三世 五孝實蹟碑
cafe.daum.net/choiwoongryul/
'가족과 가정에 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Re:세(世)와 세손(世孫) 및 대(代)와 대조(代祖)에 대한의견 (0) | 2010.01.29 |
---|---|
안렴사공 파조 부터 입고성 선조 까지의 내력 (0) | 2010.01.27 |
친족간의 호칭 (0) | 2009.12.25 |
[스크랩] 계보 통합론의 배경이 되는 문열공 최순작 후손설의 논란 (0) | 2009.07.22 |
★ 朱 子 十 悔 (주자십회) ★ (0) | 2008.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