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해 (黑海 Black Sea)
유럽 남동부와 아시아 사이에 있는 내륙해(海)
서쪽으로 루마니아와 불가리아와 경계를 이루며
남쪽으로 터키, 북쪽으로 우크라이나와 접해 있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13?1233396988.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30?1233396988.jpg)
흑해의 표층수온은 여름에 평균 30℃, 겨울에 6℃ 정도이며
표층염분은 강을 통한 민물의 유입과 많은 비로 18% 내외의 저염분이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28?1233396988.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0?1233396988.jpg)
흑해 7500년前까지 담수호였으며, 흑해의 나이는 7500살로 판명되었다,
7500년 전까지 담수호였던 흑해는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4?1233396988.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35?1233396988!%20.jpg)
지중해의 바닷물이 흘러들어 바다? ?변했다. 이 대범람이 성경에 나오는 [노아의 홍수]를
비롯한중동지역의 홍수 신화를 탄생시켰다는 학설을 뒷받침할 증거가 발견됐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33?1233396988.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15?1233396988.jpg)
미국 내셔널지오그래픽 탐사팀은 터키의 시솝에서 약 193㎞ 떨어진 흑해 해저 95m
지점에서 7500여년 전 주거지 유적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10?1233396988.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36?1233396988.jpg)
이번 발견은 흑해의 수면이 현재보다 약 168m 낮았으며
7500년 전까지 흑해! 에서는 민물조개가 살았다는 탐사팀의 지난해 조사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12?1233396988.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16?1233396988.jpg)
학자들은 유럽의 빙하가 녹으면서 지중해의 수면이 높아졌고, 보스포러스 해협이라는
천연 댐이 막아내던 지중해의 해수가
2년 동안 흑해로 흘러들어 담수호를 바다로 변모시켰다고 설명했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8?1233396988.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5?1233396988.jpg)
펜실베니아대학의 프레드릭 하이버트 박사는
[흑해가 담수호였을 무렵 사람들이 흑해 주위에 살? ?있었음을 알 수 있다]며
이들이 중동지역으로 퍼져 나가면서 다양한 ? 潤ゼ?신화가 탄생한 것 이라고 설명했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37?1233396988.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29?1233396988.jpg)
흑해의 역사
최초로 흑해를 찾아온 그리스인(人) 항해가가 연안에 살던 원주민에게 사살되었기 때문에
이 바다를 폰토스아크세노스(이방인에게 비우호적인 바다)라고 불렀다고 한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31?1233396988.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17?1233396988.jpg)
그러나 BC 8∼6세기에는 연안에 올비아·판티카파이온·시노페 등 그리스의 식민시(市)가
발달하여내륙의 스키타이인(人)이나 ? 潁8뗬??人)들과 곡물·노예·포도주·무기 등의
교역으로 번영하였기 때문에
폰토스에우크세이노스 (이방인에게 우호적인 바다)라고 불렀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38?1233396988.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14?1233396988.jpg)
그후 BC 1세기에는 폼페이우스의 동방 진출로 남서안이 로마령(領)이 되었고
이어 BC 2세기 초에는 트라야누스 황제에 의하여 연안의 대부분이 로마 제국에 편입,
로마의 내해가 되어 비잔틴 제국에 계승되었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25?1233396988.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3?1233396988.jpg)
슬라! 브인(人)이 북서안에 진출하기 시작한 것은 6∼7세기이며,
9∼12세기의 키예프 루스 시대에는 [루스의 바다]라고도 불렀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26?1233396988.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40?1233396988.jpg)
13세기에는 몽골인(人)의 유럽 침입에 의해서 슬라브의 세력이 한때 후퇴하였고
이어서 15∼16세기에 오스만투르크가 연안지역을 정복하고 투르크의 바다가 되었을때
비로소 [흑해]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는 광막한 바다에서 이따금 때아닌 폭풍이나 짙은 안개로
위험에 휩싸이게 되는 데서 유래하였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9?1233396988.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18?1233396988.jpg)
근대에 이? 7?투르크 제국이 쇠퇴하기 시작하자 러시아의 남진이 재개되어(17세기 말)
표트르 대제(大帝)의 아조프 점령에 이어 수차의 러시아-투르크전쟁에서
러시아는 차차 흑해의 지배권을 장악하였고(18∼19세기),
이윽고 지중해로 진출할 태세를 갖추었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20?1233396988.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2?1233396988.jpg)
여기에 열강(특히 영국·프랑스)의 이해가 충돌, 결국 크림 전쟁(1853∼1856)을 초래하였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21?1233396988.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32?1233396988.jpg)
러시아는 패배하여 ! 기득권(특히 함대 보유권과 연안 요새 구축권)을 상실하고
흑해의 중립화가 확립되었다
러시아는 그후에도 집요하게 지배권의 회복을 도모하였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7?1233396988.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39?1233396988.jpg)
제1차 세계대전 후의 로잔 회의(1922∼1923)와 몽트뢰 회의(1936)를 거쳐
현재 흑해는 모든 나라의 상선(商船)에 개방되어 있다
그러나 군함에 대해서만은 연안에 영토가 없는 나라는 제한
(4만 5,000t 이상은 집결할 수 없음)을 받는다
출입구인 보스포루스 해협과 다르다넬스 해협의 군함 통항권도 끊임없이
국제문제가 되고 있다
터키는 전시에 한해 이 해협을 모든 나라의 군함에 대해서 폐쇄할 수 있다
신(新)냉전 [긴장의 바다] 흑해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23?1233396988.jpg)
흑해함대 (黑海艦隊)
통제권을 둘러싸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간에 심각한 마찰이 빚어지고 있는 구소련의
대표적인 함대. 우크라이나 크리미아반도 세바스토볼항을 모항으로하는
이 함대는 지중해에서 미6함대에 맞서는 전략적 기능을 수행해 왔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6?1233396988.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19?1233396988.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41?1233396988.jpg)
우크라이나는 자국내에 기지를 두고 있는 흑해함대 중 비핵탑의 전력은 우크라이나에
귀속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러시아는 독립국가연합(CIS)의 전략통합군 통제를 받아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24?1233396988.jpg)
![](http://img.blog.yahoo.co.kr/ybi/1/95/a5/thaeok/folder/317/img_317_16908_34?1233396988.jpg)
면적 약 42만 200㎢, 동서길이 약1,150km, 남북길이 약610km ,수심 약2,210m(최대수심)로
동쪽으로 러시아연방과 그루지야,